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제14회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2022)

I AM DOCU

마스터 클래스

다큐멘터리 영화 미학의 혁신을 이끌어 온 거장들의 철학과 세계관, 창작의 비밀을 들어볼 수 있는 클래스 프로그램이다. 14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에서는 다니엘 아이젠버그, 닐스 안데르센 편집감독의 마스터클래스를 만날 수 있다. 영화 상영 후 90분 동안 진행된다.

1) 다니엘 아이젠버그 마스터 클래스

주제 '지속 관찰' 양식의 효능
참여 게스트 다니엘 아이젠버그(영화감독)
일시 9월 23(금) 17:00 <불안정한 사물들 2>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7관

2) 닐스 안데르센 마스터 클래스

주제 다큐멘터리 편집과 스토리텔링
참여 게스트 닐스 안데르센(편집감독)
일시 9월 25(일) 17:00 <로힝야>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1관

* 9월 24일 예정되어 있던 트린 T. 민하 마스터클래스는 감독 개인 사정으로 취소되었음을 알립니다.

아카데미 클래스

국내 영화·영상 관련 대학, 인문학 전공 대학생, 대학원생, 영화제 기획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올해 신설된 아카데미 배지 소지자들에게 제공되는 스페셜 클래스 프로그램이다. 아카데미 클래스는 다큐멘터리 제작, 미학, 트렌드에 대한 영화학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다양한 주제로 기획되었다. 영화 상영 후 60분 ~90분 동안 진행된다.

1) <발코니 무비>

주제 900일의 시간, 1000명의 사람들과 인터뷰하며 영화 찍기
참여 게스트 파벨 로진스키(영화감독)
일시 9월 25(일) 14:00 <발코니 무비>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7관

2)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

주제 다큐멘터리 촬영의 윤리
참여 게스트 박홍열(촬영감독 & 영화감독)
일시 9월 23(금) 13:30 <나는 마을 방과후 교사입니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8관

3) <우리의 심장박동은 폭발하는 별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주제 에세이 다큐멘터리라는 매혹적 세계
참여 게스트 제니퍼 레인스포드(영화감독)
일시 9월 24(토) 11:00 <우리의 심장박동은 폭발하는 별들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3관

독스 토크

논쟁적인 이슈나 주제를 다룬 영화 또는 주목할만한 활동을 보여주는 감독을 조명하는 스페셜 토크 프로그램이다. 영화 그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오가는 시간으로 영화 상영 후 60분 동안 진행된다.

<2차 송환>

주제 김동원의 영화적 선택
참여 게스트 김동원(영화감독), 정지혜(영화평론가)
일시 9월 24(토) 17:00 <2차 송환>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3관

<바다의 극장>

주제 개방성과 폐쇄성의 기이한 동거, 김응수의 영화
참여 게스트 김응수(영화감독), 김보년(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래머)
일시 9월 27(화) 17:00 <바다의 극장>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2관

<애프터썬>

주제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를 도발하는 논쟁적 영화
참여 게스트 유이스 갈테르(영화감독)
일시 9월 24(토) 14:00 <애프터썬>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7관

<봄바람 프로젝트-여기, 우리가 있다>

주제 디지털 시대의 한국 다큐멘터리스트 액티비즘
참여 게스트 문정현(신부), 현장 미디어 프로젝트 ‘봄바람’
일시 9월 25(일) 13:30 <봄바람 프로젝트-여기, 우리가 있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4관

<죽음의 무도>

주제 정치적 영화를 논하다
참여 게스트 툰스카 빤시티보라꿀(영화감독), 김동령(영화감독)
일시 9월 25(일) 16:30 <죽음의 무도>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2관

<아침이슬>

주제 ‘아침이슬’ 프로젝트의 디아스포라 재현
참여 게스트 금선희(영화감독), 야마모토 히로키(영화감독), 김소혜(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연구교수)
일시 9월 25(일) 14:00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3관

<바람은 국경을 무너뜨린다>

주제 기업 농경의 질서에 맞서는 토착민의 삶
참여 게스트 로라 파에르만(영화감독), 마리나 바이스(영화감독) + 설경숙(영화감독)
일시 9월 26(월) 16:30 <바람은 국경을 무너뜨린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2관

독설(Tea for Docs)

대중문화 분야에 종사하는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을 초빙하여, 다큐멘터리에 대한 다각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흥미진진한 토크 프로그램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본인만의 경험을 쌓은 특별 게스트들이 참여하여 14회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의 상영작 한 편을 관람하고 이슈, 주제, 논점을 특정하여 '썰(說)'을 푼다. 영화 상영 후 60분간 진행된다.

<킵 스텝핑>

주제 스트리트 댄스와 서브 컬처의 힘
참여 게스트 서혜미(B-girl), 조 원(댄서, Destructive Steps 기획자), 강진석(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프로그래머)
일시 9월 26(월) 17:00 <킵 스텝핑>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7관

<크리미아의 유물>

주제 박물관의 최전선
참여 게스트 박찬희(큐레이터)
일시 9월 27(화) 16:30 <크리미아의 유물>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8관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우간다>

주제 사는 동안 즐겁게 예술 놀이/일
참여 게스트 이랑(뮤지션), 진명현(무브먼트 대표)
일시 9월 24(토) 17:00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우간다>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1관

<비상구 있는 집>

주제 비상구가 있는 집은 집이 아니다
참여 게스트 장혜영(영화감독, 국회의원)
일시 9월 23(금) 16:30 <비상구 있는 집>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일산 벨라시타 101호

포럼

다큐멘터리 담론의 활성화를 위해 기획된 DMZ-POV 섹션의 주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는 포럼이다. 다큐멘터리 창작자, 연구자, 축제 기획자로 구성된 패널들과 함께 진행되는 라운드 테이블. 90분간 진행된다.

아시아 다큐멘터리 영화제 라운드 테이블

주제 아시아 다큐멘터리 영화제의 생산적 협력관계 만들기
참여 게스트 후지오카 아사코(야마가타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이사), 천완링(타이완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프로그래머), 오정훈(전 인디다큐페스티벌 집행위원장), 강진석(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프로그래머)
일시 9월 23(금) 13:00
장소 일산 벨라시타 일 살롱

금선희: 재일(在日)을 넘어, 다큐멘터리와 몸의 매체성을 생각하다

주제 경계/위계에 관한 담론에서 금선희의 의미
참여 게스트 금선희(영화감독), 오가와 쇼타(나고야대학교 인문학대학원 부교수), 야마모토 히로키(영화감독), 안민화(동의대학교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 김소혜(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연구교수)
일시 9월 24(토) 13:30 <아침이슬-‘세뇌’라는 스티그마>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4관

강연

다큐멘터리 담론의 활성화를 위해 기획된 DMZ-POV 섹션의 주제에 정통한 학자, 비평가, 연구자의 강연 프로그램이다. 올해의 기획전 중 '저항의 도시: 다른 도시를 만드는 방식들'과 '오가와 신스케: 다큐멘터리가 수확한 것들' 각각과 연계된 강연이 기획된다. 영화 상영 후 90분간 진행된다.

오가와 신스케 작가론

주제 오가와 신스케: 다큐멘터리의 힘, 윤리, 그리고 대안
참여 게스트 강태웅(광운대학교 교수)
일시 9월 24(토) 17:00 <일본해방전선, 산리츠카의 여름>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백석 7관

다큐멘터리의 작도법: 세계화 이후의 도시와 저항, 그리고 이미지

주제 도시화 이후 사회적, 역사적 재현의 딜레마를 다큐멘터리로 살펴보기
참여 게스트 서동진(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 부교수)
일시 9월 27(화) 16:30 <프리메라> 상영 후
장소 메가박스 일산 벨라시타 101호